상조산업지식연구소

  • 상조라이브러리
  • 상조산업지식연구소

상조업과 보험업은 거래방식이 매우 유사하게 보이는데 각각 다른 회계처리 기준을 적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공유하기
관리자
작성일 2024.03.29
조회수 19

보험업은 은행업, 증권업, 리스업 등과 같이 특수한 업종으로 분류되나 상조업은 대가를 미리 나누어서 받을 뿐 일반적인 서비스업으로 분류되기 때문에보험업과 같이 별도의 회계기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상조업과 보험업 간 상품의 특성에 있어서 유사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보험상품과 상조상품은 불의의 사고에 대처할 목적으로 가입한다.

② 상 조(보험)회사는 매월 일정한 상조부금(보험료)을 수취한다.

③ 약속을 이행하기 전에 고객으로부터 대가를 미리 수취한다.

④ 약속의 이행조건을 약관으로 미리 규정한다.

그러나, 거래의 이행방식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① 이행하는 약속의 형태가 보험업은 금전(보험금의 지급)이지만, 상조업은 용역(장례절차에 관한 전문적인 서비스)입니다.

② 보험회사가 고객으로부터 수령하는 보험료는 위험을 인수한 대가를 위험률에 의해 계산한 금액이나, 상조회사의 월 부금은 위험인수가 아닌 미래에 제공하는 서비스 대금을 미리 받은 것에 불과합니다.

③ 보험상품은 사고발생 시 누적납입한 보험료의 규모와 관계없이 보험금을 지급받지만, 상조상품은 장례행사 시점에 납입하지 않은 부금잔액은 서비스를

제공 받은 후에 모두 납부하여야 합니다.

④ 보험상품의 경우 고객이 지불하는 비용(보험료 납입총액)보다 많은 보험금을 받을 수 있지만 상조상품의 경우 고객이 지불하기로 약정한 수준의 서비스

가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