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래 아버지의 장례식 |
관리자
작성일 2025.04.10
조회수 93
|
달래 아버지는 근무 중 뇌출혈로 인해 3급 장애 등급을 판정받고 산재 처리되어 요양병원에서 5년간 누워계셨다. 그러던 중 급격히 증상이 악화하면서 며칠간 가족들과 인사를 나누고 편안히 영면하셨다. 달래는 아버지가 산재 요양급여를 받아 요양병원에 계시는 동안 재정적 부담 없이 모실 수 있었고, 사망 시 발생한 병원비 역시 요양급여로 충당할 수 있었다. 1. 당일 상조 서비스 가입으로 3일장 치르기 장례식장은 오전 9시부터 새로운 빈소 입실이 가능했는데, 아버지께서 새벽에 돌아가셨기에 사망선고를 받은 후 병원에서 대기했다. 인천에 있는 유명 상조회사의 장례식장에서 아버지의 3일장을 치렀고, 약 300명의 조문객이 방문했다. 달래 어머니는 상조회사에서 프리랜서 도우미로 일하고 계셨기에, 해당 상조회사의 420만 원(17,500원*240회)짜리 상조 상품을 당일 가입하여 사용했다. 당일 가입했기 때문에 미리 가입한 소비자만큼 할인이나 어떤 혜택을 많이 받을 순 없었지만, 당황스러운 와중에 가입 절차가 완료되지 않았음에도 미리 도우미들을 파견해 주고 빈소 준비를 도와주었다고 한다. 어머니께서도 평소 해오던 일이었지만 동료들의 도움을 받아 상을 잘 치를 수 있었다고 하셨다. 2. 관외지역에서 화장과 안치까지 한편 달래는 고인을 인천가족공원 승화원에서 화장한 후 인천에 있는 불교 봉안당에 모셨다. 고인의 거주지가 서울이었기에 관외주민 비용을 적용 받았지만 일반비용이 아닌 시 소재 병원, 노인요양 시설에 입원 중 사망한 자의 요금을 적용받을 수 있었다. 화장을 마친 후에는 인천의 불교 봉안당에 아버지를 안치했는데, 부부 봉안당을 계약하고 싶었으나 현재 만석인 관계로 개인(1위용) 봉안당에 아버지를 모셨다. 한편 불교 봉안당이기에 불교 교리에 따라 49제를 별도로 챙겼는데 진행비와 상차림비 등의 명목으로 약 1백 만원의 비용이 발생했다. 3. 요양 중 사망산재 신청을 위한 후속 절차 진행하기 달래 아버지께서는 산재 요양급여(월 280만원 가량)를 수급하던 중 해당 병의 악화로 사망하신 사례다. 이런 경우에는 요양 중 사망산재 신청을 통해 근로자의 유족들이 다양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달래는 관련 지식이 부족하기도 하고, 산재사고와 사망과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유족이 구체적으로 입증해야하는 부담 때문에 변호사를 선임해 해당 업무를 처리하기로 했다. 한편 요양 중 사망산재를 인정받는 경우, 유족은 유족급여와 장례비 지원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아버지가 돌아가신 지 3개월이 지났지만, 아직 입증자료를 준비하는 단계에 멈춰있다. 쉽게 인정되지 않아 재심청구를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하니 장기전으로 각오하고 기다리는 중이다. 마지막으로 달래는 3일장을 치른 후 내 봉안당은 내가 준비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 이유는 가족 모두 불교가 아니었지만, 비용이나 각종 환경 등을 고려해 급하게 불교식 봉안당을 선택하게 된 것이 마음에 걸렸기 때문이다. 또한 고인이 된 아버지께서 아무런 준비 없이 가셔서 남은 어린 자녀들이(20·30대) 어머니와 함께 많은 결정을 해야 했기에 힘들었던 점이 떠올라서였다. |